닫기

로그인 -- 관리자만 접근가능합니다 --

논문검색

홈 • 비교일본학 • 논문검색

pISSN: 2092-5328

비교일본학, Vol.59 (2023)
pp.189~206

DOI : 10.31634/cjs.2023.58.0189

- 원폭과 ‘위안부’, 젠더화된 전쟁 기억/표상의 병치 - 《원폭의 아이》와 《평화비》를 중심으로 - -

최은수

(전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강사)

2011년 수요집회의 성과로서 건립된 《평화비》=‘위안부 소녀상’에 대해 일본 측은 건립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위화감을 표해오고 있다. 일본의 이와 같은 과민한 반응의 명확 한 이유를 규명하기 위한 시도로서 본고에서는 전쟁 기억/표상의 ‘병치’의 관점에 주목한다. 비 교의 선행단계이며 인식론적 의미를 가지는 병치가 전쟁 기억/표상의 영역에서 발생할 때, 여기 에는 어떤 욕망이 투영되며 이로 인해 어떤 기억의 정치학이 결과로서 연계되는 것일까? ‘일본군 위안부’와 일본의 원폭 피해가 정치적으로 논쟁화된 전쟁 기억으로 병치되는 것은 일본의 원폭 이라는 전쟁 기억이 ‘전후일본’의 ‘국민 이야기’=전쟁에 있어서의 피해자로서의 일본이라는 자 기획정을 가능하게 한 국민/남성/영웅 이야기인 반면, ‘위안부’는 그러한 국민/남성/영웅 이야기 에 도전하는 전쟁 기억이라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그러나 《원폭 어린이 상》과 《평화비》가 모두 10대의 어린 소녀로 표상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쟁 표상/기념비의 영역에서는 유사성을 가진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원폭의 아이’=사사키 사다코는 히로시마와 아우슈비츠와 함 께 유대인 학살의 상징적 존재였던 안네 프랑크와 병치되면서 원폭과 홀로코스트라는 서로 다른 전쟁 기억의 병치를 가능하게 했던 표상/기념비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피폭 소녀를 기념하여 세운 《원폭 어린이 상》과 《평화비》의 ‘소녀’라는 공통점에 주목하여 젠더화된 전쟁 표상/기념비 의 한계를 지적하기 전에 ‘원폭의 아이’가 ‘소녀’라는 공통점을 통해 홀로코스트의 안네 프랑크 와 병치되는 지점에서 드러나는 욕망의 양태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전쟁 기억/표상의 ‘병치’라는 관점에서 볼 때, 《평화비》=‘위안부 소녀상’의 한계는 그 ‘소녀’라는 형태에 있다기보다 오히려 ‘소녀’로서 원폭과 ‘일본군 위안부’의 병치 가능성을 시사해버렸다는 점에 있다. 원폭과 ‘위안부’라는 병치 불가능한 전쟁 기억이 표상/기념비의 영역에서 ‘소녀’를 경유함으로써 실현 불가능한 병치의 가능성이 제시되어 버린 것이다.

Atomic Bombs and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s, Genderized War Memories/Representation’s Juxtaposition : Focusing on “The statue of child of the atomic bomb” and “Peace monument”

Choe Eun-su

Japan has continued to feel uncomfortable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 Monument” = “The Statue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Girls,” which was built as a result of the 2011 Wednesdays rally. As an attempt to determine the clear reason for Japan's hypersensitivity reac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Juxtrapositoin” war memories/representation. When juxtaposition occurs in the realm of war memory/representation, what desires are projected on this, and what kind of memory politics are connected as a result? The Juxtrapositoin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Japan's atomic bombs is problematic. This is because while the atomic bomb of Japan is a national/male/hero story related to the selfdefining of “Japan as a victim of war,” “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 a war memory that challenges such a national/male/hero story.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area of war symbols/monuments, as both the statue of “Child of the Atomic Bomb” and “Peace Monument” are represented as young teenage girls. In addition, “Child of Atomic Bomb” = Sadako Sasaki, along with Hiroshima and Auschwitz, is a symbol/monument that enables the juxtaposition of other war memories of atomic bombs and the Holocaust in parallel with Anne Frank, who was a symbol of Jewish slaughter. Then, before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the genderized war representation/monumen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aspects of desire revealed at the point where the “child of the atomic bomb” is juxtaposed with Anne Fran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uxtrapositoin” of these war memories/representations, the limitation of “Peace Monument” =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Girl Statue” is not in the form of “girl,” but rather suggests the possibility of being juxtaposed with “child of atomic bombing.” The possibility of an impossible juxtaposition of the atomic bomb and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through the “girl” in the realm of representation/monuments was presented.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