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 관리자만 접근가능합니다 --

논문검색

홈 • 비교일본학 • 논문검색

pISSN: 2092-5328

비교일본학, Vol.49 (2020)
pp.87~103

DOI : 10.31634/cjs.2020.49.087

- 정인조(鄭寅朝)의 「울릉도기행(鬱陵島紀行) : 식물채집기 (植物採集記)」에서 보는 1947년의 울릉도 -

최재목

(영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장)

이 논문은 종래 소개된 바 없는, 1948년 7월에 발표된 鄭寅朝의 「鬱陵島紀行 : 植物採集記」 을 통해서, 1947년의 울릉도 식물 및 현지 상황을 살펴본 것이다. 위의 논의에서 알 수 있었던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鄭寅朝는 이미 울릉도의 식물에 대한 많은 기초지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이 기행문이 1947년 8월 ‘남조선 과도정부’와 ‘조선산악회’가 공동으로 구성한 ‘울릉 도학술조사대’의 식물전문조사팀에 소속되어 울릉도 현지답사를 수행했던 필자(정인조)에 의 해 작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기행문에서 언급된 당시의 식물 30여종은 현재 생육 식물들과 대조해본 결과 모두 현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째, 기행문에서는 조국, 국토라는 확고한 의식이 잘 드러나 있고, 해방 직후 본토에서 멀 리 떨어진 우리 국토 울릉도의 땅을 밟는 기쁨을 잘 드러나 있다. 넷째, 해방 직후의 울릉도는 정치적으로는 고요했으나, 약초 및 채소 채취는 물론 벌목이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런 행위는 당시뿐만이 아니라 일제강점기와 그 이전에도 일본인들의 잠입에 의해, 그리고 조선의 內地 및 섬(거문도 등) 사람들에 의해 지속되어왔던 일이이었다. 다섯째, 일제강점기가 일본인들이 남긴 현지 풍경으로서 도동항의 ‘함석 이층집들’, 산에 식재된 ‘스기’(杉. 삼나무)를 살필 수 있다. 그 외의 것은 기록되지 않아 파악할 수가 없었다.

Ulleungdo Island of 1947 Seen Through Jeong In-jo's Travel Writing Ulleungdo: Plant Collection Records

Choi, Jae-Mok

This study examines Jeong In-jo's travel writing titled “Ulleungdo: Plant Collection Records,” written in 1947. This travel writing describes the landscape of Ulleungdo Island in 1947,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but it has not yet been mentioned in the related studies so far. First, it seems that Jeong In-jo already had a lot of basic knowledge about Ulleungdo's plants. This is because this travel writing was written after a participation in the academic research team formed jointly by the ‘South Korean Transitional Government’ and the ‘Chosun Mountain Association’, that went to Ulleungdo in August 1947. Second, all the 30 plant species mentioned in the travel writing are growing on Ulleungdo. Third, the travel writing clearly reveals the firm consciousness of the motherland, and the joy of stepping on the land of Ulleungdo as our homeland, far from the mainlan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ourth, Ulleungdo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was politically quiet, but it can be seen that harvesting herbs and vegetables as well as logging are routinely performed. Of course, this behavior was sustained not only at the time but also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the Japanese and by the Joseon people (inland and islands). Fifth, the scenery of Ulleungdo left by the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n be seen from the two-story houses in Dodong Port and the Sugi trees planted by the Japanese in the mountains. Everything else is not recorded and cannot be grasped.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