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 관리자만 접근가능합니다 --

논문검색

홈 • 비교일본학 • 논문검색

pISSN: 2092-5328

비교일본학, Vol.48 (2020)
pp.21~40

DOI : 10.31634/cjs.2020.48.021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안전국가 이론 - 패러다임의 변용에 따른 리질리언스 관리방법론을 중심으로 - -

김영근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교수)

본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글로벌 패러다임의 변용에 따른 리질리언스 관리 방법론을 고찰하고 ‘안전국가’ 이론을 정립하는 데 있다. ‘3.11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대재 해는 1918년의 스페인독감이나 제1차・제2차세계대전(전쟁)에 버금가는 글로벌 사회의 변용 이 예견되고 있으며, 국가의 역할 및 안전에 관한 거버넌스도 전환점을 맞고 있다. 제2차세계 대전을 경험하며 ‘전쟁국가(warfare state)’와 대비되는 ‘복지국가(welfare state)’라는 개념이 정립되었듯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안전국가(safety state)’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절에서 제시한 분석틀, 즉 감염병 확산으로 과정에서 두드러진 영역별 변화 및 코로나19 재해가 초래한 부(負)의 유산에 관한 유형화를 시도한다. 제2절에서는 국가 안보: 정치-사상적 대응과 패러다임 변화를 점검하고 <국가 안보>를 고찰 한다. 아울러 탈(脱)국가론적 지구환경공학에 관해서도 논한다. 제3절에서는 불확실성 및 위 기관리라는 관점에서 <경제 안보>를 분석한다. 제4절에서는 ‘사회 안전 및 공동체’ 아젠다를 내포하는 <인간 안보>에 관해, 제5절에서는 4차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기술공학 이슈인 <기술 안보>를 해부한다. 마지막으로 제6절(결론)에서는 이상의 안보에 관한 영역별 패러다임의 변 화를 이론화(試論)하고, 글로벌 위험요소 즉 포스트 ‘3.11 코로나팬데믹’ 재난관리를 위한 과 제를 제시한다.

Safety State Theory in the Post COVID-19 Era : Towards a Paradigm Shift in Resilience Management Methodology

Young-Geun Ki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heory of risk management concerning the changes in the global paradigm of the post-COVID-19 era and to establish the measure of safety state concept. As much as the 1918 Spanish Flu or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s, the ‘3.11 COVID-19 Pandemic’ is expected to transform the global society. The governance related to the role and the safety of the country is also at its turning point. While the concept of a “welfare state” was introduced in contrast to a “warfare state” after experiencing World War II, “safety state” is expected to draw attention in the post-COVID-19 era.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Section 1 suggests an analysis framework that attempts to categorize the marked changes in various domains due to the spread of the infectious disease and challenges the inherited obstacle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Section 2 considers ‘national security’ by examining political-ideological responses and paradigm shifts. It also discusses the denationalistic aspects of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Section 3 analyzes ‘economic security’ from the perspective of uncertainty and crisis management. Section 4 reviews ‘human security’ that includes social safety and community-related agendas. Section 5 is integrated with the science and technological issu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nown as ‘technical security’. Lastly, Section 6 (Conclusion) theorizes the noted changes in the paradigm for each domain with the notions of security, thereby presenting the challenges in the uncertainty and outlines the global risk factors in the disaster management of the post-COVID-19 Pandemic.

다운로드 리스트